"신개념 탈모치료제 개발 가능성 높여"
세계 최초로 남성 탈모의 원인을 밝혀낸 경북대병원 모발이식 연구센터 김정철 교수(사진).
연구실에서 만난 김 교수는 바쁜 와중에도 여기저기서 걸려오는 전화에 진지하게 답변했다.
모발 식재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김 교수지만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는 사실앞에서 적잖게 흥분했다. 김 교수에 있어 탈모 원인 규명은 시작이다. 기존의 탈모치료제와는 분명하게 구분되는 신약 개발과 상용화를 위해서 아직 갈 길이 멀다고 강조했다.
―남성 호르몬이 탈모를 부른다는 학설은 세계 최초다.
"아직까지 남성 호르몬이 탈모를 야기하는지 대머리를 초래하는지에 대해선 전혀 밝혀진 바가 없다. 왜 탈모가 있는 사람들의 수염이 더 잘 자라는지에 대해서도 알지 못했다. 이번 연구를 통해 머리가 빠지는 대머리 부위는 남성호르몬에 의해 '디케이케이 원(DKK-1) 단백질'이 증가되고, 그 단백질이 모근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찾아냈다. 반면에 수염이나 후두부 뒤쪽은 남성호르몬이 많이 있어도 DKK-1이 올라가지 않으며, 수염은 오히려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물질들을 증가시킨다는 것도 알아냈다."
![](https://static.coupangcdn.com/image/affiliate/category/20180610/sports-640-x-100.jpg)
―경북대병원에서 연구하고 있는탈모치료제가 시중에 나와 있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나.
"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는 탈모치료제는 미녹시딜과 프로페시아 등 2종류밖에 없다. 모두 미국식품의약청에서 승인한 것이다. 하지만 완전한 치료약이 아니라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. 다행히 이번 연구를 통해 탈모의 원인이 되는 DKK-1 단백질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찾은 상태다. DKK 합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찾게되면 새로운 개념의 발모제를 개발할 수 있다. 현재 개발한 약제로 발모 효과가 있는지, 탈모를 방지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."
―임상 시험은 어디까지 진행됐나.
"동물실험까진 끝난 상태다. 이 물질을 국소적으로 바르는 약으로 개발할 경우 모근까지 침투해야 하는데, 현재로선 이 부분에 문제점이 발견돼 계속 개선하고 있다."
―개발한 약제는 언제쯤 상용화되나.
"예측하기 힘들다. 시간이 좀 지나봐야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."
―이번 연구의 성과를 정리한다면.
"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는 탈모치료제는 미녹시딜과 프로페시아 등 2종류밖에 없다. 모두 미국식품의약청에서 승인한 것이다. 하지만 완전한 치료약이 아니라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. 다행히 이번 연구를 통해 탈모의 원인이 되는 DKK-1 단백질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찾은 상태다. DKK 합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찾게되면 새로운 개념의 발모제를 개발할 수 있다. 현재 개발한 약제로 발모 효과가 있는지, 탈모를 방지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."
―임상 시험은 어디까지 진행됐나.
"동물실험까진 끝난 상태다. 이 물질을 국소적으로 바르는 약으로 개발할 경우 모근까지 침투해야 하는데, 현재로선 이 부분에 문제점이 발견돼 계속 개선하고 있다."
―개발한 약제는 언제쯤 상용화되나.
"예측하기 힘들다. 시간이 좀 지나봐야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."
―이번 연구의 성과를 정리한다면.
"경북대병원이 (탈모의) 새로운 원인을 밝혀낸 만큼 기존의 탈모치료제와는 전혀 다른 개념의 약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됐다."
'건강U+ > 탈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페시아-프로스카 매일 먹으면 전립선암 예방 (0) | 2019.02.01 |
---|---|
[건강교실] 여성탈모, 약물요법 효과 (0) | 2019.02.01 |